삼전도비의 비밀 삼전도비의 비밀 우리가 너무 당연시 하는 일들이 있는데, 삼전도의 비석에 대한 것이 그 하나이다. 단순히, 전쟁에 져서 굴욕적인 일을 당한 흔적이라 여기는 것이다. 그러나, 조금만 생각해보면 상식에 반하는, 이해되지 않는 일들이 있다. 과연 어떤 의문이 있고, 그 의문의 답은 무엇인.. 기타/역사 2016.03.25
삼전도 실록 일기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 삼전도에 관련하여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를 서로 비교해 보자. 실록을 편찬할 때에는 주로 사초를 바탕으로 편찬하지만 다른 기록도 참조를 한다. 그 중에 하나가 승정원일기다. 상대적으로 비교해 보자. 조선왕조실록 => 공식기록, 가공사료, 사본 존.. 기타/역사 2016.03.25
폐하 전하는 존칭이 아니다 폐하 전하는 존칭이 아니다. 우리 모두는 지금까지 폐하(陛下), 전하(殿下) 등을 존칭으로 알고 있었습니다. ‘황제=폐하, 왕=전하’이고 ‘폐의 아래에 있는 사람, 전의 아래에 있는 사람’이라는 뜻이므로, 저는 그 사람을 황제나 왕이라 하였고, 다른 사람들은 ‘황제나 왕을 알현하는 .. 기타/역사 2016.03.14
전하 殿下 전하(殿下) 전하(殿下)의 뜻이 ‘전의 안에 있는 사람’이냐, ‘전의 바깥에 있는 아랫사람’이냐 의 문제인데, 제가 확신하는 데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습니다. 전하의 뜻이 어느 것이냐에 따라, 폐하의 뜻도 그에 따라 갈 것입니다. 물론, 전하의 뜻이 어느 것이냐에 따라, 전하와 폐하의 .. 기타/역사 2016.03.11
전하 폐하 ⁠ 전하와 폐하 쓰다 보니 길어져서 이렇게 따로 글을 올립니다. 천제(天帝), 천황(天皇), 천군(天君)은 모두 다 ‘하늘나라 임금’을 뜻하는 단어입니다. 그렇지만, 帝, 皇, 君 등이 단순히 임금이라는 동일한 뜻이라 하기 보다는, 원래는 어감이 다른 나름의 뜻을 가지고 있었을 터이지.. 기타/역사 2016.03.10
삼전도의 진실 삼전도의 진실 *******삼전도의 굴욕??? 우리 동국의 역사에 있어, 아주 창피한 사건들 중에 하나로 알려져 있는 삼전도의 굴욕, 그날의 일은 정말로 실재했었던 것일까? 아니면, 허구의 소설일까? 삼전도에서는 과연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인조가 청태종에게 절을 했을까? 동국의 임금.. 기타/역사 2016.03.09
한글 훈민정음 한글에 대한 모든 의문을 풀어 드립니다. 단 하나의 의문, 한글을 누가 언제 어떻게 만들었는지에 대한 의문은 남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PREP화법으로 설명합니다. Point =============== 1. 훈민정음은 한자의 발음기호이다. - 훈민정음은 중국어(문자)를 통일하기 위해 만들었습니다. 한국어를 .. 기타/역사 2015.05.11
중국에 내려보낸 훈민정음 한글은 세종이 만들지 않았습니다. 세종이 만든 것은 훈민정음입니다. 한글과 훈민정음은 별개의 것으로서 서로 다른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까지 이렇게 배워왔습니다. 한문이 배우기 어려워 배우기 쉬운 우리 글자를 만들었다든지, 한문은 중국어를 적기 위한 문자이므로 우리말을 적.. 기타/역사 2013.11.10
훈민정음의 정체와 목적, 동국과 중국의 관계 최근 제가 몇달에 걸쳐 훈민정음과 관련한 글을 두 편 썼는데, 여러분들께서 한번 읽어보시기를 바랍니다. 이달 초에 인터넷에 공개했는데, 제 생각과는 다르게 별 다른 반응이 없었습니다. 뭐, 어느 정도는 예상됐던 일입니다만. 역시, 촌구석의 무명자가 세상에 무엇인가를 발표한다는 .. 기타/역사 2013.11.10
법통 혈통 민족주의 탈퇴하고 나서 탈퇴한 후의 동정을 살피러 간 것은 아니고, 내가 쓴 글을 내 블로그에 정리하기 위해 왔다갔다 하다가, 내 이름이 눈에 확 띄는 바람에, 그것도 글 쓴 사람이 아무리힘들어도(이하 아무리)님이길래, 몇 번을 고민하다가 열어보았고, 어쩔 수 없이 관계되는 다른 글도 읽게 .. 기타/시사 2013.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