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신을 숭배한 동이 東夷 - 9. 태양신을 숭배한 동이 [왜, 역사를 말하는 곳에서 종교를 계속 강조하고 거듭 말하는가? 역사는 종교와 별개로 다룰 수 있지 않은가? 역사를 말하면서 굳이 종교를 거론 할 필요가 있는가? 역사는 과거의 사람들이 경험한 여러 가지 결과물이나 흔적을 현시대에서 회고하는 것이.. 기타/역사 2013.01.08
설날, 서울, 서낭당, 삼신신앙 東夷 - 8. 설과 서, 그리고 삼신신앙의 흔적 [설, 서]와 관련하여 [설날, 서울, 서낭당]의 어원을 추정해 보겠다. '설날'의 어원에 대해서 말이 많다. '낯설다, 설다'라는 말의 어근인 '설'에서 그 어원을 찾아, 설날이 "새해에 대한 낯설음"과 "아직 익숙하지 않은 날"이란 뜻을 동시에 가지고 .. 기타/역사 2013.01.08
호남, 영남, 고추의 유입시기 東夷 - 7. 호남, 영남의 어원과 고추의 유입시기 많은 사람들이 의문을 갖지만 곧 외면하는 것들이 많다. 귀찮아서, 몰라서, 불필요해서, 여러 가지 이유들로 일상으로 돌아간다. 그 중에 하나, 왜 전라도 지방을 호남이라 부르고 경상도 지방을 영남이라 부르는가? 이 의문은 나뿐만 아니.. 기타/역사 2013.01.08
삼지창, 삼족오, 아리새 東夷 - 6. 삼지창과 삼족오, 그리고 아리 삼지창(三枝槍)과 삼족오(三足烏)는 한자어이다. 한자어인 父에 대한 '아버지'라는 말이 있듯이, 우리 민족의 기본 단어들 중에 하나인 삼지창과 삼족오도 '한자어가 아닌 우리말'이 존재했었을 것이라는 추측이다. 아니, 존재하지 않았다는 게 이.. 기타/역사 2013.01.08
심청전, 바다, 용궁 東夷 - 5. 심청전 - 바다와 용궁 [혹자는 "동이족이 우리 조상이 아니다."라고 말한다. <동이족이란 민족이 형성되기 이전, 중국민족의 근간이 되는 화하족이 동쪽(주로 산동성, 강소성)에 사는 사람을 이르다가 진시황 통일 후에는 만주 한국 일본인을 일컬은 것이다. 그러므로 동이는 혈.. 기타/역사 2013.01.08
단군과 조선 東夷 - 4. 단군과 조선 동이와 조선은 같은 대상을 가리킨 단어(동이 = 조선)인가? 현 국사교과서에는 동이의 영역과 조선의 영역이 다르게 표시 되어있는데, 왜 그런 것인가? 현 국사교과서의 내용이 정확하다고는 말할 수 없지만, 그들이(국사 편찬위원회) 그렇게 내용을 집어 넣은 데에.. 기타/역사 2013.01.08
동이의 정체 東夷 - 3. 동이의 정체 나는 내이름을 한자로 적는 것에도 애로를 느낄 정도로 학문과는 거리가 멀다. 이 곳에 들리는 많은 분들처럼 중국사서를 도서관에서 읽는다는 것은 꿈 같은 얘기이고, 삼국사기나 삼국유사를 게시판에 인용할 수 있는 실력만 되더라도 목에 힘주고 돌아다녔을 것.. 기타/역사 2013.01.08
종교와 역사 東夷 - 2. 종교와 역사 '종교'라는 말을 꺼내면, 그 단어를 듣는 순간부터 인상을 찡그리는 사람들이 대다수이다. 비종교인이거나 종교인이거나 마찬가지이다. 비종교인은 종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부터 그러하고, 종교인은 자신들의 종교와 어떤 마찰이 생기지 않을까 하는 우려에.. 기타/역사 2013.01.08
한국사의 미스테리, 의문점 東夷 - 1. 수많은 한국사의 의문점들 ㅇ 중국은 한국사에서 벗어 날려고 발버둥을 치지만, 자기들이 기록한 역사에서 스스로 동이의 후손임을 밝히려하는 것처럼 보인다. 왜? 중국의 역사는 한민족사에 편입될 정도라는데, 지금의 현실에서는 중국인과 한국인은 너무나 다르게 느껴진다! .. 기타/역사 2013.01.08